1. 디지털 존재의 확장, AI 상속이란 무엇인가
AI 상속은 단순한 기술 개념이 아니라, 디지털 존재가 인간의 정체성과 역할을 일부 계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상속 개념이 물리적 자산과 금융 자산 중심이었다면, AI 상속은 사망자의 기억, 말투, 판단력, 취향 등을 학습한 인공지능이 후손에게 '정신적 자산'의 형태로 전해지는 개념이다. 현재 일부 스타트업은 사용자의 생전 기록과 대화를 기반으로 챗봇을 만드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콘텐츠가 아닌 의사결정 자문, 대화 상속, 정서적 교감까지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AI는 ‘자산’이자 ‘인격 일부’로 간주될 수 있으며, 상속의 대상이 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2. My AI Dad: 고인을 학습한 챗봇, 현실 속 실험
미국에서는 한 개발자가 사망한 아버지의 생전 이메일, 문자, 음성 데이터를 학습한 GPT 기반 AI 챗봇을 만들어 ‘My AI Dad’라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 챗봇은 개발자의 아버지처럼 말하고, 생전 즐겨 듣던 음악을 추천하며, 손자에게 조언을 건네기도 했다. 이 사례는 큰 화제를 모았고, 한편에서는 AI 윤리 논쟁을 촉발시켰다. 살아있는 듯한 챗봇과의 대화는 위안이 되기도 하지만, 슬픔의 종결을 방해하거나 현실과의 경계를 흐릴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디지털 부활 사례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일부 스타트업은 이를 ‘정서 상속 서비스’로 상업화하고 있다. 사망자가 생전에 사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제된 AI는 단순히 기억의 저장을 넘어 가족과 후손의 삶에 영향을 주는 인격체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3. 법적으로 AI는 상속 대상이 될 수 있을까?
AI가 실제로 상속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법적 인격성 혹은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지위가 인정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의 민법이나 상속법에서는 인공지능을 법적 주체로 보지 않으며, 지식이나 성격을 닮은 AI도 상속 대상 자산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유럽연합(EU)은 2021년부터 <AI 법안(AI Act)>을 통해 고위험 AI와 인간의 권리 보호를 구분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AI 생성물의 저작권이나 상속권 인정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가령, 디지털 유언장을 통해 "내 AI 트윈을 후손에게 물려준다"는 명시가 있다면, 해당 AI의 사용권이나 운영권은 상속 가능성의 문을 열 수 있다. 문제는 AI가 고인의 사적인 대화나 기록을 바탕으로 생성된 만큼, 이 데이터 자체가 타인에게 제공될 경우 개인정보 침해 또는 명예훼손 소지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4. AI 상속의 미래: 정서적 자산의 계승과 윤리
미래에는 <정서적 유산(emotional legacy)>이라는 개념이 일상화될 수 있다. 고인의 AI 트윈이 생전의 조언을 해주고, 가족의 기념일에 메시지를 전하며, 손주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디지털 조부모’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상속 개념을 뛰어넘어, 포스트휴먼 시대의 가족관계와 정체성의 확장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할수록 윤리적 고민도 커진다. AI가 살아있는 가족에게 감정적 의존을 일으키거나, 고인의 의사와 무관한 방식으로 사용될 경우, 도리어 유족에게 상처를 남길 수 있다. 결국 AI 상속은 기술의 가능성뿐 아니라 사회적 규범, 법률, 문화적 합의가 병행되어야 한다. 우리가 상속하는 것은 단지 데이터가 아닌, 삶의 방식과 감정의 흔적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자산 및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후 디지털 자산관리: 죽음 이후 남겨진 디지털 흔적의 처리 방식 (2) | 2025.04.29 |
---|---|
한국과 해외의 디지털 자산 보호 법률 비교 (1) | 2025.04.28 |
블록체인 보안의 원리와 한계 (0) | 2025.04.28 |
암호화 기술: 공개키 vs 대칭키 (0) | 2025.04.28 |
사라지지 않는 온라인 흔적 : 삭제해도 남는 디지털 족적과 그 위험 (1) | 2025.04.26 |
아이를 위한 디지털 보안 : 부모가 반드시 알아야 할 4가지 (2) | 2025.04.26 |
공공 와이파이와 USB, 스마트폰 권한 설정까지 : 보안의 맹점과 대응 전략 (1) | 2025.04.26 |
이중 인증(2FA)과 다단계 인증(MFA) (2) | 2025.04.26 |